안녕하세요, sooj님!
이번에 아파트를 매수하시면서 부모님들께 도움을 받으신다니 정말 든든하시겠어요.
다만 증여세 부분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질문 주신 내용을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부모님 각각 5천만 원씩 주신다면, 모두 증여세 면제일까요?
네, 맞습니다!
친정 부모님이 딸에게 5천만 원, 시댁 부모님이 아들에게 5천만 원을 각각 주시는 건 서로 다른 증여 관계로 보기 때문에,
각 자녀가 10년간 5천만 원까지는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즉, 이번 경우는 증여세 면제 대상입니다
공제를 초과할 경우 증여세는 얼마를 내야 하나요?
증여세는 공제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 계산되며,
예를 들어 1천만 원 초과 시 10% → 약 100만 원 정도가 되지만, 자진 신고 시 3% 감면 혜택이 있어 약 97만 원 정도 납부하게 됩니다.
차용증을 쓰고 돈을 갚는다면 증여세 안 내도 되나요?
이 부분은 조심하셔야 해요!
단순히 차용증만 작성하고 실제 상환이 없거나, 상환 계획이 불명확하면 국세청에서는 차용이 아니라 증여로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빌린 돈이라면 이자 지급, 상환 내역, 통장 이체 등 명확한 증빙이 꼭 필요합니다.
지원받는 돈은 각각 따로 자녀 계좌로 받아야 하나요?
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친정부모님 → 딸 계좌
시댁부모님 → 남편 계좌
이렇게 분리해서 이체받는 것입니다.
그래야 증여자와 수증자 관계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공제 적용이 깔끔하게 처리됩니다.
시부모님이 6년 전 1억을 주신 경우, 이번 5천만 원은 공제 안 되나요?
안타깝지만 맞습니다
증여세는 10년간 누적으로 공제 적용되기 때문에, 6년 전에 이미 1억을 증여받으셨다면
이번에 받는 5천만 원은 공제 없이 전액 과세 대상입니다.
따라서 증여세를 꼭 계산해서 신고하셔야 해요.
Tip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신고가 원칙이니, 잊지 말고 꼭 챙기세요.
세무사 상담을 통해 정확한 증여세 계산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sooj님께서 가족과 함께 새 보금자리를 준비하시는 과정이 행복하고 순조롭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세금 문제도 잘 정리하시고, 기쁜 마음으로 이사 준비하실 수 있길 응원할게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를 참고해 보세요.
증여세 면제 조건에 대해 잘 정리되어 있어요!
부모님 각각으로부터 5천만 원씩, 총 1억 원을 증여받는 경우 증여세 면제 여부는 증여자의 수와 수증자의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기본적인 증여세 면제 기준 (2025년 기준):직계존속(부모) → 자녀에게 증여 시자녀가 **성인(만 19세 이상)**이면: 1인당 5천만 원까지 비과세자녀가 미성년자면: 1인당 2천만 원까지 비과세질문 상황 적용:자녀가 **성인(만 19세 이상)**이고,아버지로부터 5천만 원 + 어머니로부터 5천만 원 = 총 1억 원을 증여받는 경우:→ 부모 각각으로부터 5천만 원씩이므로, 각각의 증여가 비과세 한도(5...
foodpedi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