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현재 상황
- 2005년생, 고졸 → 대학 미진학
- 국비교육 이력 있음, 기능사 및 전기 관련 자격증 보유
- 취업 준비 중 (학점은행제 계획 없음)
- 입영 통지서 발부 (병역법 제16조) → 연기 방법 찾는 중
2. 병역법상 입영 연기 가능한 사유 (법적 근거)
병역법 시행령 제129조 및 병무청 규정에 따라 입영연기 사유:
연기 사유 | 조건 및 참고사항 | 가능성 |
재학 사유 | 대학(학점은행제, 대학원, 외국대 포함) 재학 중 | 〇 |
국가자격시험 준비 | 국가기술자격, 공무원시험, CPA, 변리사 등 (시험일 기준 1년 연기) | △ |
고시 준비 | 고시(사법, 외무, 행정고시) 및 국가시험 (CPA 포함) | △ |
취업 준비 | '단순히 준비'는 불가. 합격 후 출국 필요 시만 연기 | ✕ |
기타 사유 | 본인의 질병, 가족 부양 등 특별한 사정 있을 경우 | △ |
3. 현실적인 선택지
"국가자격시험 준비" 사유가 유일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단,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국가자격시험 준비로 연기 신청 (1년 단위, 최대 2년)
기능사, 전기자격증 이미 취득 → 새로운 상위 자격증 목표 필요
예: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안전관리자, 산업안전기사
병무청에 시험 일정표와 수험표 제출 → 심사 후 연기 승인
국가자격시험 준비는 '시험일 기준으로만 1년' 연기 가능 (예: 2025년 9월 시험이면, 2026년 9월까지만 연기)
학점은행제 (마지노선)
학점은행제 등록만 해도 연기 가능 (전공 불문, 출석 필요 없음)
원격 수업으로 학점 이수 → 취업과 병행 가능
4. 권장 전략
선택지 | 실행 난이도 | 연기 기간 | 비고 |
국가자격시험 준비 | 중 | 최대 2년 | 기사/산업기사 급 자격증 목표 필요 |
학점은행제 | 낮음 | 졸업 시까지 | 출석 X, 원격 수업 가능 |
만약 시간과 여유가 부족하다면, 학점은행제 등록 + 국가자격시험 도전 병행이 현실적인 선택.
5. 즉시 할 일 (액션 플랜)
1️⃣ 병무청 민원상담 (1588-9090) 전화 → 내 상황 설명 후 상담받기
2️⃣ 연기 신청 전, 국가자격시험 일정 확인 (Q-net)
3️⃣ 학점은행제 등록 고려 → (예: K-MOOC,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등)
4️⃣ 필요하면 연기원 작성 및 서류 준비 (병무청 e-병무청 → 민원 신청)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블로그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