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3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34번 빈칸 추론 문제에 나왔던 지문입니다. 이 지문은 '피드백'과 '학습'이라는 교육적 맥락을 다루고 있습니다.
Passage:
> The most effective leaders are those who can accurately assess when to intervene and when to let people figure things out for themselves. This is particularly true when it comes to feedback. Sometimes the best feedback is no feedback at all. This might seem counterintuitive. Isn’t feedback essential for improvement? Yes, but not all feedback is equally helpful. Research shows that while expert performers can benefit from detailed, critical feedback, novices often respond negatively to it. For beginners, an absence of criticism, or even a bit of praise for small successes, can be more motivating than a barrage of corrections. They need encouragement to keep trying. For them, silence from an instructor or coach can be interpreted as “no news is good news.” It allows them to continue practicing without feeling judged. The key is understanding tha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More experienced individuals might seek out critical feedback, but beginners thrive on a sense of competence that can be easily shattered by too much negativity.
>
(Source: 2023년 3월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영어 영역)
지문 주제 및 내용 요약:
* 주제: 학습자 수준에 따른 효과적인 피드백 방식의 차이
* 요약:
* 가장 효과적인 리더는 언제 개입하고 언제 사람들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둘지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다. 이는 특히 피드백과 관련하여 사실이다.
* 전문가 수준의 수행자는 상세하고 비판적인 피드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초보자는 종종 그것에 부정적으로 반응한다.
* 초보자에게는 비판이 없거나 작은 성공에 대한 약간의 칭찬이 연이은 수정보다 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그들은 계속 시도할 격려가 필요하다.
* 초보자에게 지도자나 코치의 침묵은 "나쁜 소식이 없는 것이 좋은 소식"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판단받는 느낌 없이 연습을 계속하게 해준다.
* 핵심은 빈칸에 들어갈 내용처럼, 피드백이 항상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긍정적인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초보자에게는 과도한 부정적 피드백이 해로울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다. (원래 빈칸에 들어갈 답: "different people need different kinds of feedback at different stages of learning")
이 지문이 교육과 관련된 이유:
* '피드백(feedback)', '학습(learning)', '초보자(novices)', '전문가(expert performers)', '동기 부여(motivating)', '격려(encouragement)', '지도자/코치(instructor or coach)' 등 교육 현장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들을 다루고 있습니다.
* 학생의 수준(초보자/숙련자)에 따라 다른 접근 방식(피드백 제공 방식)이 필요하다는 교육적 원리를 설명하고 있어, 교육학적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큽니다.
이런 유형의 지문이 학생의 진로(교육 분야)와 관련하여 탐구해 볼 만한 내용이 될 수 있습니다.
문제 풀이
[지문 해석]
The most effective leaders are those who can accurately assess when to intervene and when to let people figure things out for themselves.
가장 효과적인 리더는 언제 개입해야 할지와 언제 사람들이 스스로 해결하도록 내버려 두어야 할지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사람들입니다.
This is particularly true when it comes to feedback.
이것은 특히 피드백에 관해서 그러합니다.
Sometimes the best feedback is no feedback at all.
때때로 최고의 피드백은 전혀 피드백을 하지 않는 것입니다.
This might seem counterintuitive. Isn’t feedback essential for improvement?
이것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피드백은 향상에 필수적이지 않은가요?
Yes, but not all feedback is equally helpful.
네, 하지만 모든 피드백이 똑같이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Research shows that while expert performers can benefit from detailed, critical feedback, novices often respond negatively to it.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 수준의 수행자들은 상세하고 비판적인 피드백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반면, 초보자들은 종종 그것에 부정적으로 반응합니다.
For beginners, an absence of criticism, or even a bit of praise for small successes, can be more motivating than a barrage of corrections.
초보자들에게는 비판이 없거나 작은 성공에 대한 약간의 칭찬이 쏟아지는 수정 사항들보다 더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
They need encouragement to keep trying.
그들은 계속 시도하도록 격려가 필요합니다.
For them, silence from an instructor or coach can be interpreted as “no news is good news.”
그들에게 있어, 지도자나 코치의 침묵은 "나쁜 소식이 없는 것이 좋은 소식"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It allows them to continue practicing without feeling judged.
그것은 그들이 평가받는다는 느낌 없이 연습을 계속하도록 해줍니다.
The key is understanding tha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핵심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More experienced individuals might seek out critical feedback, but beginners thrive on a sense of competence that can be easily shattered by too much negativity.
더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비판적인 피드백을 찾을지 모르지만, 초보자들은 너무 많은 부정적인 것에 의해 쉽게 깨질 수 있는 유능함에 대한 감각을 바탕으로 성장합니다.
[빈칸 채우기 답]
이 문제의 정답은 ③ different people need different kinds of feedback at different stages of learning (사람마다 학습의 다른 단계에서 다른 종류의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 입니다.
[풀이]
* 지문의 중심 내용 파악:
이 글은 피드백의 효과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지 않으며, 특히 학습자의 수준(전문가 vs. 초보자)에 따라 적절한 피드백의 종류와 방식이 달라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 전문가와 초보자에 대한 대조:
* 전문가 (expert performers): 상세하고 비판적인 피드백으로부터 이익을 얻음 (can benefit from detailed, critical feedback)
* 초보자 (novices, beginners): 비판적인 피드백에 부정적으로 반응함 (often respond negatively to it). 오히려 비판이 없거나 약간의 칭찬, 또는 코치의 침묵(긍정적 해석)이 더 도움이 됨 (an absence of criticism, or even a bit of praise... can be more motivating; silence... can be interpreted as “no news is good news”).
* 빈칸 앞뒤 문맥 분석:
* 빈칸 앞 문장: "The key is understanding that..." (핵심은 ~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문장은 글의 핵심 내용을 요약하는 부분이 빈칸에 들어갈 것을 암시합니다.
* 빈칸 뒷 문장: "More experienced individuals might seek out critical feedback, but beginners thrive on a sense of competence that can be easily shattered by too much negativity." (더 경험이 많은 사람들은 비판적인 피드백을 찾을지 모르지만, 초보자들은 너무 많은 부정적인 것에 의해 쉽게 깨질 수 있는 유능함에 대한 감각을 바탕으로 성장합니다.) 이 문장은 다시 한번 경험 많은 사람(전문가)과 초보자에게 필요한 피드백의 차이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 정답 선택 이유 (③):
선택지 ③ "different people need different kinds of feedback at different stages of learning" (사람마다 학습의 다른 단계에서 다른 종류의 피드백을 필요로 한다)은 지문 전체에서 반복적으로 강조하는 '학습자 수준(단계)에 따른 피드백의 차별화'라는 핵심 내용을 가장 잘 담고 있습니다. 'different people'은 전문가와 초보자를, 'different stages of learning'은 그들의 숙련도 차이를, 'different kinds of feedback'은 그들에게 각각 효과적인 피드백 유형(비판적 피드백, 칭찬, 침묵 등)을 의미합니다.
* 오답 분석:
* ① feedback is always best when it’s immediate and specific (피드백은 즉각적이고 구체적일 때 항상 최선이다): 지문은 초보자에게는 때로 피드백이 없는 것이 나을 수도 있다고 말하므로 'always best'와 상반됩니다.
* ② people are more open to feedback if they trust the giver (사람들은 제공자를 신뢰하면 피드백에 더 개방적이다): 신뢰가 중요할 수는 있지만, 이 글의 핵심은 신뢰보다는 학습자 수준에 따른 피드백 방식의 차이입니다.
* ④ too much positive feedback can make people overconfident (너무 많은 긍정적 피드백은 사람들을 지나치게 자신감 있게 만들 수 있다): 지문은 초보자에게 긍정적 피드백이나 비판의 부재가 도움이 된다고 말하며, 과도한 긍정적 피드백의 부작용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지는 않습니다.
* ⑤ the timing of feedback is as important as the content (피드백의 시기가 내용만큼 중요하다): 시기도 중요할 수 있지만, 이 글은 주로 피드백의 '종류'와 '유무'를 학습자 수준과 연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문 전체의 내용을 포괄하고, 빈칸 앞뒤 문맥과 가장 잘 연결되는 것은 ③입니다.
채택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