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행 일정이 꽤 알차신데, 조금 복잡한 비자 규정 때문에 헷갈리실 수 있어요. 같이 차근차근 살펴보면서 질문하신 두 가지(1. 주하이 입국 가능성, 2. 중국 내 무비자 체류 → 마카오 하루 → 다시 중국 무비자) 여부를 확인해보겠습니다.
1) 주하이 입국에 무비자 가능하나요?
먼저 중국 본토(광둥성 등)에서 적용되는 무비자 경유 체류(Transit Visa Free) 정책이 있어요. 예컨대, 외국인이 지정된 포트(port)를 통해 입국해서 제3국(지역)으로 나가는 여정을 가진다면 144시간(또는 최근엔 240시간)까지 비자 없이 머무를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chinadiscovery.com)
이 제도가 광둥성 일부 지역(광저우, 선전 등)에도 적용된다는 안내가 있어요. 예컨대, “144시간 편리비자(Convenient Visa Free)” 정책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돼 있습니다:
다만, 이 정책의 입국포트와 출국포트, 여정의 제3국(지역) 연결 여부, 관광그룹 여부 등 여러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아요. 예컨대, 단독 여행자가 아니라 여행사 그룹으로 움직여야 한다는 안내도 있습니다. (partnernet.hktb.com)
특히 “주하이만 머무르고 다른 광둥성 도시 방문 안 함” 이런 경우, 입국 포트가 인정되는지, 여행사가 개입되어야 하는지 등 규정이 모호할 수 있어요. 실제로 포럼에 “주하이 포트가 144시간 무비자 적용 포트 명단에 없다”는 언급도 보입니다. (Tripadvisor)
➡️ 결론적으로, 주하이에 단독으로 들어가서 무비자 체류가 가능할지 확실히 ‘그렇다’고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조건이 맞으면 가능성은 있지만, 입국 시 심사관 재량이 크고 규정 해석이 엄격할 수 있어요.
2) 중국 30일 무비자 체류 → 마카오 하루 → 다시 중국 무비자(주하이) 가능할까요?
먼저 “중국 30일 무비자”라고 하신 것은, 일부 국가가 중국 본토에 관광·방문 목적으로 무비자 입국 가능한 제도가 존재합니다. (visaforchina.cn) 하지만 이 제도는 일반적인 관광 목적이고, 광둥성 내 특정 도시·여정에만 적용되는 “관광그룹 무비자” 규정과는 구분돼요.
마카오(마카오)에서 다시 본토 중국(주하이)로 들어가는 경우, 위에서 언급한 광둥성 “144시간 무비자 그룹 관광” 제도가 더 관련이 있어요. (visaforchina.cn)
그러나 문제는:
첫 번째 입국에서 “30일 무비자” 형태로 중국 본토 체류 → 출국 → 마카오 → 다시 중국 입국이라는 연속성이 규정상 허용되는지 불명확해요.
두 번째 입국 시에 “144시간 무비자 체류” 조건을 충족하려면 제3국(지역)으로 나가는 티켓, 지정 포트, 여행사 그룹 등 제약이 있을 수 있어요.
중국 당국이 “무비자 체류” 제도를 여러 번 반복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입국 목적·여정을 엄격히 보는 경향이 있어요. (Tripadvisor)
➡️ 따라서 “중국 본토 30일 무비자 체류 → 마카오 하루 → 다시 본토 주하이 144시간 무비자”라는 여정은 이론상 가능성은 있으나 실무상 매우 리스크가 있고 조건이 맞아야만 합니다.
✅ 제가 제안드리는 조언
먼저 항공권·국경이동 티켓을 정확히 준비하세요. 특히 주하이 입국 후 다시 어떤 지역(예: 홍콩 또는 제3국)으로 나갈지 명확히 되어 있어야 합니다.
여행사 또는 현지 쇼어 서비스를 통해 “광둥성‑홍콩‑마카오 무비자 관광그룹” 제도를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해보세요. 관광그룹 형태로 들어가는게 안정적일 수 있어요.
입국 포트(예: 주하이의 어떤 항구/항만인지), 출국 포트, 체류 도시 등이 규정에 맞는지 확인해보세요. 포럼에 “입국 포트가 명시 리스트에 없다”는 사례가 있었어요. (Tripadvisor)
만약 규정이 애매하다면, 안전을 위해 본토 중국 비자(Visa)를 미리 받아 두는 것도 고려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필요하시면 주하이‑광둥성 144시간 무비자 사례나 실제 입국 가능 포트 목록 등을 같이 찾아드릴 수 있어요. 그렇게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