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메탄올 중독 치료법과 치료법의 상용화 시기 알아본 바로는 메탄올 중독의 치료법으로 포메피졸이라는 약물이 사용되는 걸로 알고있는데,

알아본 바로는 메탄올 중독의 치료법으로 포메피졸이라는 약물이 사용되는 걸로 알고있는데, 결국 치료 자체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 에탄올을 섭취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메탄올의 분해를 억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결국 메탄올은 온전하게 체내에 남아있게 되는 것이고, 매우 오랜 시간동안 천천히 자얀배출되도록 기다리거나 투석을 통해 강제로 빼는 것 외에는 별다른 방법이 없는 것 같은데실제로 현대의학에서 메탄올 중독 치료방식은, 위에서 서술한 것처럼 메탄올 분해억제+투석을 통한 물리적인 제거 뿐인가요?아니면 다른 방법이 또 있을까요?그리고 이러한 치료법이 어디서 언제부터 개발되었고, 상용화는 언제부터 되었나요?

질문자님께서 이해하신 내용이 아주 정확합니다.

메탄올 중독의 현대 의학적 치료는 주로 아래 두 가지로 이루어집니다.

1) '포메피졸(fomepizole) 또는 에탄올' 투여

- 이 두 약물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DH)'에 대해 메탄올보다 더 높은 친화력을 가지며

'메탄올이 포름알데히드와 포름산으로 대사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 결과적으로 '독성 물질 생성을 막아주는 효과'는 있지만,

'메탄올 자체를 제거하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2) '혈액투석(hemodialysis)'

- 혈액에서 '메탄올과 그 대사산물(포름산 등)'을 직접 제거하는 치료법입니다.

- 특히 메탄올 농도가 높거나, 시력 이상·산증(acidosis)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 시행됩니다.

'즉, 현재 메탄올 중독 치료는 크게 보면 “대사 억제 + 투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메탄올을 빠르게 분해하거나 해독하는 방법은 현대의학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치료법 개발 및 상용화 시기'

- '에탄올을 이용한 치료법'은 1960년대부터 임상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 이후 1997년, '포메피졸(fomepizole)'이 미국 FDA에서 '메탄올 및 에틸렌글리콜 중독의 해독제'로 승인되며

기존 에탄올보다 더 표준적인 치료제가 되었고,

- 현재는 '미국, 유럽, 한국 등 여러 국가에서 상용화되어 사용 중'입니다.

포메피졸은 '더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ADH를 억제할 수 있고',

에탄올과 달리 '중추신경계 억제 등 부작용이 적어' 선호됩니다.

하지만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도 있어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에탄올이 병용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 질문자님의 정리처럼 '메탄올 대사 억제 + 투석'이 현재로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며,

- 이 방식은 20세기 중반부터 연구되어, 199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포메피졸'이 상용화되었습니다.

- 아직까지 메탄올 자체를 신속히 무독화시키는 '근본적 치료법'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