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CK의 관한 모든 것이라고 물으면 너무 광범위합니다. 적당히 뭔지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디테일적인 요소가 궁금하다면 그 부분을 질문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목차 (PC 버전에 최적화가 되어있습니다.)
1. 롤e스포츠 1년 로드맵
2. LCK의 범위
3. 팀 설명
들어가기에 앞서서 롤e스포츠는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을 이용한 e스포츠를 말합니다.
---------------------------
1. 롤e스포츠 1년 로드맵
쉽게 설명하자면 롤 e스포츠는 1년 라인업이 이렇습니다.
케스파 컵 → LCK 컵 → FST → LCK 정규 시즌 (전반) → MSI → EWC → LCK 정규 시즌 (후반) → LCK 플레이오프 → Worlds → 스토브리그 (이적 시장)
붉은 색은 국제 리그, 파란 색은 게임사 주관이 아닌 대회입니다. 현재는 LCK 플레이오프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파란 색은 게임사 주관이 아니기에 정식 커리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케스파 컵: KeSPA CUP, 한국e스포츠협회가 주최하는 대회입니다. 24.11.30. ~ 24.12.08. 까지 진행하는 대회로 기존 LCK 10팀과 대만, 베트남 초청팀으로 총 12팀이 참가했습니다. 사실 이 대회는 기간을 보시면 이적 시장 기간고 모든 대회가 끝나고 치뤄지는 대회라서 사실 팀마다 2군 or 유망주를 출전시키는 대회였었습니다.
그러나 차후 아시안 게임 국가 대표 선발과 연계한다는 방침으로 인해서 이번에 선수들이 쉬지도 못하고 경기를 뛰었습니다. 알다시피 국가 대표 선발은 명예로운 것도 있고 군 복무 관련된 문제도 있어서 선수들이 꽤 예민한 문제였는데 이번 케스파 컵은 그래서 이래저래 논란이 많았습니다. 24년 기준, OK 저축은행 브리온이 우승했습니다.
LCK 컵: 2025년에 신설된 대회로, 25.01.15. ~ 25.02.23. 까지 진행하는 대회입니다. 피어리스 드래프트를 적용했으며 우승팀은 FST에 진출할 수 있습니다. 한화생명e스포츠가 우승했습니다.
FST: First Stand Tournament, 퍼스트 스탠드 토너먼트는 2025년 신설된 대회로, 25.03.10. ~ 25.03.16. 까지 진행되었습니다. 한국 서울에서 진행되었으며 각 지역 별로 Winter 시즌 (한국 기준 LCK 컵) 우승팀이 진출하는 대회입니다. 한화생명e스포츠가 우승했습니다.
LCK 정규시즌 (전반): 25.04.02. ~ 25.09.28. 까지 진행되는 대회로 과거에는 스프링, 서머 이렇게 두 개로 운영했지만 이번에 하나로 통합했습니다. 정규시즌은 전반, 후반이 있으며 전반은 1~2 라운드 즉, 10주차까지의 경기를 진행합니다. 모든 팀이 각각 2번 경기를 치루게 되고 10주차까지의 결과로 1~6위까지 Road To MSI 즉, MSI 선발전에 진출합니다. 여기서 토너먼트를 통해서 최종 2팀이 선발되며, 선발된 2팀은 MSI에 진출합니다. (Gen.G, T1이 진출했습니다.)
MSI: Mid-Season Invitational, 25.06.27. ~ 25.07.12. 캐나다 밴쿠버에서 진행되는 국제 대회입니다. 각 지역별로 선발된 2팀씩 진출하며 총 10팀이 경기를 치루게 됩니다. LCK는 FST에서 우승했기에 2팀 모두 본선에 진출합니다. 또한 결승만 진출해도 Worlds 티켓을 한 장 더 받습니다. (즉, LCK가 최소 결승에 진출했을 경우 Worlds 진출권 4장) 그리고 우승 팀은, Worlds 출전권을 받습니다.
MSI부터는 이제 국제 대회 커리어로 인정합니다. 롤판 자체가 LCK 커리어는 저평가하는 기조가 큰데 MSI 우승부터는 이제 유관으로 쳐주는 분위기입니다. 그만큼 MSI부터는 중요한 대회입니다. 25년 기준으로 Gen.G가 우승했습니다.
EWC: Esports World Cup, 25.07.16. ~ 25.07.20.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이 주최하는 대회로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경기가 진행됩니다. 이번에 라이엇 게임즈와 3년 파트너십 계약이 진행되면서 준공인 대회라고 보입니다. EWC가 커리어에는 관련은 없지만 압도적으로 높은 상금으로 참여하는 대회입니다. 25년 기준으로 Gen.G가 우승했습니다.
우승한 Gen.G는 내년에 우승팀 특전으로 성적과 상관 없이 EWC 참가합니다.
LCK 정규시즌 (후반): MSI, EWC가 끝나고 진행되는 후반부입니다. 기존 전반부와 다르게 후반부는 레전드, 라이즈 그룹으로 구분됩니다. 레전드는 1~5위, 라이즈는 6~10위로 묶이며 그룹별로 경쟁합니다. 즉, 레전드는 레전드 그룹끼리, 라이즈는 라이즈 그룹끼리 묶입니다.
총 15주차를 진행하며 마지막에 레전드 그룹 전체, 라이즈 그룹 1~3위만 (즉, 1~8위) 플레이오프에 진출합니다. 진출팀은 레전드 그룹 전원(Gen.G, 한화, T1, KT, 농심)과 라이즈 그룹 상위 3팀(DK, 피어엑스, 브리온)이 진출했습니다.
LCK 플레이오프: 25.09.03. ~ 25.09.28. 까지 진행되는 플레이오프입니다. LCK 정규시즌의 최종 순위 및 최종 우승팀을 결정짓습니다. 또한 Worlds 진출팀을 결정 짓습니다. (원래는 Worlds 선발전이 있었으나, 2025년에 폐지되고 플레이오프 최종 성적에 반영됩니다.)
현재 LCK는 MSI 우승으로 인해서 최종 4팀(시드)이 진출이 가능합니다. 그 중에서 Gen.G는 우승팀 특전으로 Worlds 확보가 되었습니다. Worlds 확정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Gen.G: MSI 우승팀 특전으로 Worlds 진출 확정. 최소 4시드 확보
2) KT: LCK 플레이오프에서 Gen.G를 이겨서 진출 확정. 최소 3시드 확보
3) 한화생명: LCK 플레이오프에서 T1을 이겨서 진출 확정. 최소 3시드 확보
마지막 한 자리만 남았고 현재 가능성이 있는 팀은 T1, 디플러스 기아(DK), 피어엑스입니다. (25.09.16. 기준)
Worlds: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롤드컵, 월즈), 25.10.14. ~ 25.11.19. 중국(베이징, 상하이, 청두)에서 진행됩니다. 1년 결산과 같은 대회로 사실상 끝판왕 대회입니다. 24년 기준 T1이 우승했습니다.
아무래도 끝판왕 대회이고, 그 전에 아무리 잘했어도 월즈에서 미끄러졌다면 실패했다고 보는 경우도 상당합니다. 당장 24년 젠지만 보더라도 MSI 우승컵을 들었지만 끝내 월즈 우승컵을 못 들었습니다. 반대로 T1은 24 서머때 최악의 경기력을 보냈지만, 월즈에서 드라마를 써내려가 성공적인 시즌으로 평가받습니다. 즉, Worlds의 성적이 1년을 결정할 정도입니다.
그만큼 가장 길게, 오래하며 규모도 매우 큽니다. 또한 우승팀에게는 우승 스킨과 엄청난 상금을 제공합니다. 현재 롤e스포츠가 기성 스포츠처럼 사실 상금보다는 연봉제를 도입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상금이 주어집니다. 또한 한국 기준으로 e스포츠의 인기가 꽤 높고 지상파에서도 방영하는 게 롤e스포츠라서 엄청난 스타가 되는 기회가 주어집니다.
스토브리그: 오프 시즌, 25.11.17. 부터 진행되며 롤은 계약 기간이 11월 17일로 모두 동일하기에 (단년, 다년 모두) 이 때 이후로 이적 시장이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 휴식기, 오프 시즌, 이적 시장, 스토브 리그라고 불립니다.
---------------------------
2. LCK의 범위
롤e스포츠는 총 4개의 메이저 지역을 두고 있습니다. 대륙간 지역도 있고 한국처럼 단일 지역도 있습니다. 4개의 메이저 지역과 그 하위 리그는 각 나라 별, 지역 별로 연고를 두고 있습니다.
한국(LCK), 중국(LPL)은 다른 지역 및 국가와 함께하지 않고 단일 지역으로 편성되었기에 하위 리그가 대체로 2군으로 편성되어있습니다. 당장 프로게임단도 1, 2군으로 병행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범위가 넓은 LEC는 하위 리그가 13개나 되며 모든 메이저 프로게임단이 2군처럼 운영하는 게 아니라 그냥 하위 리그만 활동하는 게임단이 있습니다. 즉, 하위 리그가 무조건 2군 리그는 아닙니다.
1) LCK: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한국 지역리그
1-1) LCK CL: League of Legends Challengers League. 한국 지역 2군 리그
한국 지역, LCK입니다. CL 아래에도 LCK 아카데미 시리즈가 있고 유망주를 육성하는 리그입니다. 현재 한국은 LCK, LCK CL을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2) LPL: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중국 지역리그
2-1) LDL: League of Legends Development League. 중국 지역 2군 리그
3) LTA: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of the Americas. 아메리카 대륙 지역리그
3-1) LTA North: 북아메리카 리그
3-1-1) NACL: North American Challengers League. 북아메리카 2부 리그
3-1-2) LRN: Liga Regional Norte. 중앙아메리카 하위 리그
3-2) LTA South: 남아메리카 리그
3-2-1) LRS: Liga Regional Sur. 라틴아메리카 하위 리그
3-2-2) CD: Circuito Desafiante. 브라질 하위 리그
우선, LTA는 범위가 넓습니다. 원래는 북, 남아메리카 서로 리그가 따로 있었지만 리그 재정 및 인재풀 문제로 통합했습니다. 그래서 LTA North, South가 2부 리그가 아니라 남, 북에서 따로 진행하고 플레이오프만 같이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4) LEC: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유럽, 아프리카, 중동 지역리그
인증 하위 리그
4-1) LFL: La Ligue Francaise de League of Legends. 프랑스, 모나코 하위 리그
4-2) PRM: Prime League.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리히텐슈타인 하위 리그
4-3) LVP: Liga de Videojuegos profesional SuperLiga. 스페인, 안도라 하위 리그
4-4) TCL: Turkiye Sampiyonluk Ligi. 튀크키예 하위 리그
비인증 하위 리그
4-5) RL: Rift Legends. 폴란드, 우크라이나, 조지아, 이스라엘 등... 지역 하위 리그
4-6) NLC: Nothern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북유럽 지역 하위 리그
4-7) LIT: League of Legends Italian Tournament. 이탈리아 하위 리그
4-8) AL: Arabian League. 아랍 지역 하위 리그
4-9) HLL: Hellenic Legends League. 그리스, 키프로스 하위 리그
4-10) LPLOL: Liga Portugesa de League of Legends: 포르투갈 하위 리그
4-11) HM: Hitpoint Masters. 체코, 슬로바키아 하위 리그
4-12) EBL: Esports Balkan League. 발칸반도 지역 하위 리그
4-13) ROL: Road Of Legends.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하위 리그
LEC는 LCK와 다르게 최상위 리그 아래에 수많은 리그가 있습니다. 애초에 유럽, 중동, 아프리카 모두 포함된 리그라서 단일 지역인 LCK와 다릅니다. 사실상 수많은 지역 및 나라의 리그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각 2부 지역 리그는 플레이오프가 끝나면 'EMEA Msters'를 개막해서 2부 지역 리그 국제 대회를 진행합니다. 유럽 2부 리그 Worlds(롤드컵)이라 보면 되겠습니다.
5) LCP: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Pacific. 태평양 지역 리그
5-1) LJL: League of Legends Japan League. 일본 하위 리그
5-2) PCS: Pacific Championship League. 대만, 홍콩, 마카오,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하위 리그
5-3) VCS: Vietnam Championship Series. 베트남 하위 리그
5-4) LTS: League of Legends Thailand Series. 태국 하위 리그
5-5) LASA: Legends Ascend South Asia. 남아시아 지역 하위 리그
5-6) LR: Liga Republika. 필리핀 하위 리그
5-7) LNC: League of Legends Nusantara Cup. 인도네시아 하위 리그
5-8) LTC: League of Legends TITANS CUP.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하위 리그
---------------------------
3. 팀 설명 (2025 LCK 정규 시즌 성적 기준)
앞서서 설명하자면, 선수는 주로 닉네임을, 감독은 원래는 본명을 불렀는데 선수 출신 감독이 점차 많아지면서 점점 더 닉네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저는 감독 & 코치는 본명(닉네임)으로, 선수는 닉네임으로 표기하겠습니다. 뒤에 '(c)'는 주장입니다.
1) Gen.G (젠지)
감독: 김정수
코치: 권영재(헬퍼), 김다빈(린)
탑: 기인
정글: 캐니언
미드: 쵸비
원딜: 룰러(c)
서폿: 듀로
2) 한화생명e스포츠
감독: 최인규(댄디)
코치: 이재하(모글리), 신동욱(샤인)
탑: 제우스
정글: 피넛(c)
미드: 제카
원딜: 바이퍼
서폿: 딜라이트
3) T1
감독: 김정균(꼬마)
코치: 임재현(톰), 조세형(마타)
탑: 도란
정글: 오너
미드: 페이커(c)
원딜: 구마유시
서폿: 케리아
4) KT 롤스터
감독: 고동빈(스코어)
코치: 김무성, 손승익(손스타)
탑: 퍼펙트
정글: 커즈
미드: 비디디(c)
원딜: 덕담
서폿: 피터
5) 농심 레드포스
감독: 박승진(첼리)
코치: 김재희(크레이지), 김태양(썬)
탑: 킹겐
정글: 기드온
미드: 칼릭스
원딜: 지우
서폿: 리헨즈(c)
6) 디플러스 기아
감독: 배성웅(벵기)
코치: 이정현(푸만두), 하승찬(하차니), 김대호(씨맥)
탑: 시우
정글: 루시드
미드: 쇼메이커(c)
원딜: 에이밍
서폿: 베릴
7) BNK 피어엑스
감독: 유상욱(류)
코치: 조재읍(조커)
탑: 클리어(c)
정글: 랩터
미드: 빅라
원딜: 디아블
서폿: 켈린
8) OK저축은행 브리온
감독: 이호성(듀크)
코치: 김도엽(구거)
탑: 모건(c)
정글: 크로코
미드: 클로저
원딜: 하이프
서폿: 폴루
9) DRX
감독: 김상수(쏭)
코치: 노진욱(얼라이브), 김태일(프로즌), 윤상호(캐치)
탑: 리치
정글: 스폰지
미드: 예후
원딜: 테디(c)
서폿: 안딜
10) DN 프릭스
감독: 주영달(오딘)
코치: 정민성(빠른별), 김창성(큐브), 양현민(미닛)
탑: 두두
정글: 표식(c)
미드: 불독
원딜: 버서커
서폿: 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