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께서 농어촌 전형 지원과 관련하여 중요한 고민을 하고 계시는군요. 거주 기간과 학교 재학 기준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농어촌 특별 전형의 6년 기준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학생 및 부모의 거주 요건: 학생 본인과 부모(또는 학생의 배우자와 직계 존속) 모두 농어촌 지역에 6년(초등학교 입학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또는 3년(중학교 입학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동안 연속으로 거주해야 합니다. 이 거주 기간은 원서 접수일까지 계속 유지되어야 합니다.
* 학교 재학 요건: 학생이 해당 농어촌 지역에 소재하는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 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모두 이수해야 합니다. 즉, 해당 기간 동안 해당 지역 학교에 재학했어야 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초등학교 때까지는 농어촌이 안 되는 곳에 살아서 농어촌 지역인 중학교로 이사를 갔어요"라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농어촌 전형의 6년 기준 (초등학교 입학일부터 고등학교 졸업일까지) 요건에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농어촌 특별 전형에서 말하는 '6년' 기준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모두 농어촌 지역에 소재한 학교에서 재학한 경우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중학교와 고등학교만 농어촌 지역에서 다니셨다면, 보통 '3년 기준' 농어촌 전형의 요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별로 농어촌 특별 전형의 세부 자격 요건이 다를 수 있습니다. 어떤 대학은 중학교 입학 전년도 12월 31일 이전부터 이사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 기간 동안 6년을 채운 경우를 인정하기도 합니다. 또한, 단순히 주민등록 주소 이전이 아니라 실제 거주와 재학 기간을 모두 중요하게 심사합니다. 중학교 생활기록부에 이사 전 주소가 남아있다는 점도 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질문자님께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입학처에 직접 문의하여 해당 연도의 농어촌 특별 전형 모집 요강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상황을 설명하여 상담받는 것입니다. 각 대학의 입학 요강에 명시된 기준이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