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조선 민족은 나라를 되찾기 위해 무장 투쟁, 외교 활동, 학생운동, 농민·노동운동, 실력 양성 운동 등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방식은 달랐지만 모두 조국의 독립을 향한 간절한 염원에서 비롯되었다. 각 운동은 나름의 성과와 한계를 지녔는데, 내가 독립운동가였다면 나는 실력 양성 운동을 선택했을 것이다. 이는 장기적으로 민족의 힘을 키우고 독립 이후의 발전까지 준비하는 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무장 투쟁은 봉오동·청산리 전투, 의열단 활동처럼 일본군에 직접 타격을 가하며 민족의 자존심을 지켜냈다. 그러나 군사력 열세와 희생의 한계가 컸다. 이에 비해 실력 양성 운동은 희생을 최소화하면서도 지속적으로 민족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었다.외교 활동은 파리강화회의 대표 파견, 이승만의 위임통치 청원처럼 국제 여론을 움직이려는 시도였다. 그러나 열강은 자국의 이익에만 관심이 있어 독립 성과는 크지 못했다. 반면 실력 양성 운동은 외부의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힘을 기른다는 점에서 더 현실적인 방법이었다.실력 양성 운동은 실제로 다양한 실천으로 나타났다. 그 대표적 사례가 물산 장려운동이다. “내 살림 내 것으로”라는 구호 아래 국산품을 애용해 민족 산업을 키우려 했다. 이는 경제적 자립 없이는 독립도 불가능하다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일본의 탄압과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은 있었지만, 민족 자본을 보호하고 자립 의식을 고취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었다.또한 민립대학 설립 운동도 있었다. “한민족 1천만이 한 사람 1원씩”을 내어 우리 힘으로 대학을 세우자는 취지였다. 비록 일제의 방해로 실현되지는 못했지만, 교육의 중요성을 민족 전체가 공유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독립 이후 국가를 운영할 인재 양성을 목표로 했다는 점에서 이 운동은 매우 앞서 있었다고 본다.학생운동과 농민·노동운동도 중요한 독립운동이었다. 학생운동은 광주학생항일운동, 6·10 만세운동처럼 민족의식을 전국으로 퍼뜨렸고, 농민·노동운동은 일본의 수탈에 맞서 생존권을 지키려 했다. 그러나 학생운동은 계층이 한정되었고, 농민·노동운동은 강한 탄압으로 지속성이 부족했다. 실력 양성 운동은 전 계층이 동참할 수 있었고, 교육·경제·언론 등 사회 전반에서 추진할 수 있었기에 더 폭넓은 기반을 가졌다.결론적으로 독립운동은 모두가 소중했지만, 내가 독립운동가였다면 나는 실력 양성 운동을 선택했을 것이다. 물산 장려운동과 민립대학 설립 운동처럼 경제와 교육을 발전시키는 노력은 독립의 밑거름이자, 독립 이후 나라를 세우는 데 꼭 필요했기 때문이다. 진정한 독립은 단순히 일본에서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국가를 운영할 능력을 기르는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실력 양성 운동은 가장 현실적이고 장기적인 독립운동이었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우리가 그 정신을 계승한다는 것은 과거를 기념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지금도 우리 사회의 실력을 키워 나가는 데 힘쓰는 것이라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