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올려주신 걸 보니 지금 진로와 입시에 맞춰 과목 선택을 고민하고 계신 것 같네요. 충분히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라 정리해드릴게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고3 때 수학 과목 이수가 "무조건 필수"는 아닙니다. 국가 교육과정에서 수학은 공통과목(수학, 수학Ⅰ, 수학Ⅱ 등)을 고1·고2 과정에서 일정 부분 이수하게 되어 있고, 이후 고3에서는 선택과목으로 미적분, 기하, 확률과 통계 등을 두는 구조예요. 따라서 학교에서 정한 교과 편성에 따라 고3 때 수학을 선택하지 않고 다른 교과를 채울 수도 있습니다.
다만 중요한 건 "대학 입시"와 "진로"입니다.
대학 입시 반영: 이과 계열, 특히 자연계·공학계·의학계 등은 수능 수학에서 미적분/기하 선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땐 고3 때 관련 과목을 이수하지 않으면 준비가 힘들어져요.
인문계 지원: 확통 선택만으로도 충분히 지원 가능한 대학과 학과들이 많습니다. 이 경우 고3 때 굳이 미적·기하를 선택하지 않아도 불이익은 크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학교 생활기록부: 과목 선택 기록이 남기 때문에 진로와 전혀 동떨어진 선택은 피하는 게 좋아요.
정리하면, 제도적으로 고3 수학이 절대 필수는 아니지만 본인이 가고 싶은 전공과 대학 입시 방식을 고려해서 선택하는 게 핵심이에요. 혹시 목표 대학·학과가 있다면 그 모집요강에서 수학 선택 과목을 어떻게 반영하는지 꼭 확인해보세요.
"채택" 부탁드립니다. "채택" 해주시면 보다 좋은 답변을 다는데 힘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