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조현병을 가진 동생 망상, 환청, 환시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이상함을 인지한 후부터 병원 권유를

망상, 환청, 환시증상을 겪고 있습니다. 이상함을 인지한 후부터 병원 권유를 했으나 거부. 2년이 지난 지금 환청이 심해져 마치 옆에 옆집 아저씨가 있는 것처럼 쌍욕을 하며 싸웁니다. 치료 얘기만 나오면 발악을 해요. 자기 정상이라고... 그냥 내버려두라고... 이렇게 싸우면 스트레스 풀린다고... 자신의 말을 믿어주는 친구도 치료 얘기만 나오면 거부감을 드러냅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말 힘드시겠어요... 2년째 이런 상황이면 질문자님과 가족들이 얼마나 지치고 괴로우실지 마음이 아파요

조현병은 환자 본인이 병식(자신이 아프다는 인식)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치료 거부가 정말 흔한 일이에요. 질문자님 잘못이 전혀 아니에요.

먼저 이해해야 할 것들

조현병 환자의 치료 거부 심리

  • 망상과 환청이 본인에게는 "현실"이에요

  • "치료=자신의 현실을 부정당하는 것"으로 느껴져요

  • 약물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도 있고요

  • "정상이라고" 주장하는 건 질병의 증상 중 하나예요

지금 상황에서 할 수 있는 것들

1. 직접적 설득보다는 우회적 접근

  • "치료받아라" → "몸이 힘들어 보여서 걱정돼"

  • "병원 가자" → "건강검진 받아보자"

  • "약 먹어라" → "잠 잘 자려면 뭔가 도움이 필요할 것 같은데"

2. 신뢰관계 먼저 구축하기

  • 환청 내용을 완전히 부정하지 말고 "그런 일이 있었구나" 정도로 수용

  • 동생이 힘들어하는 부분에 공감해주기

  • 일상적인 대화와 관심 표현 지속

3. 전문가 상담부터 받기 동생 치료 전에 가족상담부터 받으세요:

  •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와 가족 상담

  • 조현병 가족 교육 프로그램 참여

  • 어떻게 대화해야 하는지 구체적 방법 배우기

응급상황 대응 방법

즉시 입원이 필요한 경우:

  • 자해나 타해 위험이 있을 때

  • 일상생활이 완전히 불가능할 때

  • 폭력성이 나타날 때

비자의 입원 절차:

  •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명 진단

  • 시·군·구청 정신건강복지센터 신청

  • 가족이나 보호자가 신청 가능

현실적인 단계별 접근

1단계: 환경 조성

  • 스트레스 요인 최소화

  • 규칙적인 생활 패턴 도와주기

  • 안전한 공간 확보

2단계: 간접적 도움 제공

  • 수면제나 안정제부터 시작 (신경쓰인다고 하면서)

  • 정신건강복지센터 방문상담 요청

  • 동생이 신뢰하는 사람 통해 설득

3단계: 전문적 개입

  • 정신건강 전문요원의 가정방문

  • 위기개입팀 지원 요청

  • 필요시 응급입원 고려

가족들이 할 수 있는 실질적 도움

대화 방법:

  • "네가 힘들구나"라는 공감부터

  • 환청 내용을 논리로 반박하지 말기

  • "병원"이라는 단어 대신 "상담", "검진" 사용

환경 관리:

  • 조용하고 안정적인 환경 조성

  • 과도한 자극(TV, 음악 등) 피하기

  • 규칙적인 식사와 수면 도와주기

전문기관 도움 받기

즉시 연락할 곳들:

  •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무료 상담, 방문서비스)

  • 국립정신건강센터 (1577-0199)

  • 생명의전화 (1588-9191) - 위기상황 시

장기적 지원:

  • 조현병 가족회 참여

  • 정신재활시설 정보 수집

  • 사회복지 혜택 알아보기

가족의 정신건강도 중요해요

2년간 이런 상황이면 질문자님도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올 수 있어요:

  • 가족 상담 꼭 받으시고

  • 본인 정신건강도 챙기세요

  • 혼자 감당하려 하지 마시고

희망적인 점들

  • 조현병은 치료 가능한 질병이에요

  • 적절한 약물치료로 증상 조절 가능해요

  • 가족의 지지가 회복에 큰 도움돼요

  • 완치는 어려워도 안정적인 생활은 충분히 가능해요

마지막으로

"치료 얘기만 나오면 발악"하는 건 질병 때문이에요. 동생을 탓하지 마시고, 질문자님도 자책하지 마세요.

전문가와 상의해서 단계적으로 접근하시면 분명 길이 있을 거예요.

지금 당장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연락해서 가족상담부터 받아보세요.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마시고 전문가 도움 받으시길 바라요.

응급연락처:

  •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보건소 문의)

  • 119 (응급상황 시)

  • 정신건강 위기상담전화 1577-0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