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정부의 국방예산 삭감과 항모·핵잠 백지화 이유를 물으셨는데요. 간결히 정리해보겠습니다.
정치적 이유 — ‘반문재인’의 본능
윤석열 정부는 출범 직후부터 문재인 정부의 국방사업에 반대 입장을 취했습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경항공모함, SLBM, 자주국방 정책은 모두
“안보 포퓰리즘”이라며 비효율 주장
국방전략이 아닌 정치적 차별화의 대상이 됐습니다.
윤 정부는 국방전략이 아니라, 문재인 정부가 추진했다는 이유만으로도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죠.
재정 문제 — ‘용산 이전’과 무리한 감세의 후폭풍
윤석열 정부가 취임 직후 가장 먼저 한 일은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실을 이전한 것이었습니다.
이로 인해
국방부·합참 이전비용
경호·보안 재설비 비용
정보통신망 재구축 비용 등
예상치 못한 국방 재정 지출이 발생했습니다.
게다가 법인세 감세를 추진하고, 대규모 추경을 편성하면서 생긴 세수 부족은
결국 국방예산까지 손대는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허튼 데 쓴 돈 — 오염수 홍보비 논란
한편, 윤석열 정부는 국방예산을 줄이면서도
후쿠시마 오염수 안전 홍보비에만 수십억 원을
용산 대통령실 홍보, 순방행사 경호비용 등에도 거액을 지출했습니다.
정작 군사력 강화에는 소극적이면서, 정치적 홍보와 이벤트엔 예산을 아끼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올 만합니다.
일본 고려설 — 일부 정치적 의심
윤석열 정부가 일본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과정에서
일본이 민감해할 수 있는 항모·핵잠 사업엔 소극적이었다는 관측도 있습니다.
이는 공식화된 정책은 아니지만, 정황상 무리한 해석이라고만은 볼 수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윤석열 정부의 국방예산 삭감은 단순히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정치적 반문 전략
용산 이전으로 인한 국방부담
홍보 등 정치행사에 예산 우선 사용
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습니다.
“보수는 안보에 강하다”는 명제는 이번 사례에서 증명되지 않았다는 게 중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