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제빵기능사 물 온도 7월 30일에 제빵기능사 실기를 치는데 품종마다 물온도를 몇도로 맞춰야 하나요?

7월 30일에 제빵기능사 실기를 치는데 품종마다 물온도를 몇도로 맞춰야 하나요? 그리고 여름에는 얼음물을 써서 온도를 맞추라는데 얼음이 들어있는 물을 넣고 반죽하라는 말인가요? 아니면 얼음을 넣어서 물 온도를 낮췄다가 얼음 빼고 넣어서 반죽하라는 건가요?

아래에 제빵기능사 실기에서 물 온도 및 얼음 사용법을 한눈에 정리했어요. 실기 준비에 큰 도움 될 거예요!

1. 물 온도 계산 공식

물 온도 계산은 핵심!

복사편집

{3 × (목표반죽온도 – 마찰계수)} – 분말온도 – 실내온도 = 물 온도

  • 마찰계수: 기계 반죽 시 610℃, 손 반죽 시 –53℃ 사용

  • 예시: 목표 26℃, 마찰계수 6℃, 분말온도 28℃, 실내 27℃일 때

  • → (3×(26−6)) − 28 − 27 = 5℃ 정도의 물 준비 필요

☀️ 2. 여름철 얼음 사용하는 법

  • 물 온도를 낮추려면 얼음물을 써야 해요.

  • 방법:

    • 물을 얼음과 같이 계량하거나,

    • 필요한 물 일부를 얼음으로 계량해서 넣으면 돼요

  • 주의: 얼음이 녹지 않은 상태로 넣는 게 아니라, 얼음이 녹은 차갑고 균일한 얼음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좋아요.

  • 녹는 중 얼음 조각이 그대로 들어가면 반죽 상태와 글루텐 형성에 방해될 수 있어요

3. 계산 순서

얼음물 섞을 때는 아래 순서로 계산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1. 마찰계수 확인

  2. 물 온도 계산

  3. 얼음 사용량 결정

이 순서대로 하면 효과적으로 최종 반죽 온도를 맞출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