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스 냄새의 원인 1. 보통 락스 냄새의 원인을 세균 제거하면서 생기는 클로라민의 냄새라고
1. 보통 락스 냄새의 원인을 세균 제거하면서 생기는 클로라민의 냄새라고 하잖아요. 그런데 락스가 세균에 닿기 전에 통에 담긴 상태에서도 락스 냄새가 나잖아요? 그건 뭐 때문인가요? 저는 염소 기체인줄 알았는데 락스에서 염소기체 때문에 냄새가 난다는건 오해라는 걸 봐서요..2. 락스 청소 후 나는 냄새가 락스 냄새와 같은 원인인가요? 그렇다면 차아염소산 냄새가 흔히 맡는 락스 냄새인가요?3. 차아염소산이 락스 냄새라면 차아염소산은 물과 반응해서 생긴 후 액체 상태로 있는 것 아닌가요? 액체 상태의 차아염소산이 기체로 휘발되어 냄새로 맡아지는 건가요?4. 산성 환경에서는 차아염소산이 염소 기체가 된다는데 일반적인 화장실은 산성 상태가 아니니까 화장실 락스 청소 후 나는 냄새는 염소기체 냄새가 아닌건가요?
1. 락스 자체에서 나는 냄새는 차아염소산과 소량의 염소 기체 때문일 수 있어요
락스는 수용액 상태지만 일부 염소가 기체로 휘발돼 냄새를 만들기도 해요
2. 청소 후 냄새도 주로 차아염소산과 그 반응물 냄새일 가능성이 커 보여요
3. 차아염소산은 액체 상태지만 일부가 기체로 변해 냄새로 감지될 수 있어요
4. 일반 화장실은 산성 환경이 아니어서 염소 기체보다 차아염소산 냄새가 주로 나는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