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시고,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이 아닌 교과전형으로만 대입을 준비 중이시군요. 3학년 때는 수능 최저학력기준 공부에 집중하고 싶어 선택 과목 수를 최소화하고 싶으시다는 뜻으로 이해했습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고등학교 교육과정 운영 원칙상 3학년 때 진로선택과목만을 선택하여 필수 이수 단위(학점)를 채우는 것은 불가능합니다.1.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필수 이수 단위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교과 이수 단위를 정해놓고 있습니다. * **보통 교과(공통 과목, 선택 과목)**와 진로 과목을 포함하여 졸업 전까지 **총 192단위(학점)**를 이수해야 합니다. * 이 중 보통 교과는 공통 과목과 일반 선택, 진로 선택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 3학년이 되어도 일정 단위 이상의 과목을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합니다.따라서 단순히 선택 과목 수를 줄이기 위해 진로 선택 과목만 듣는 것은 불가능하며, 학교에서 정해놓은 3학년 필수 이수 과목 및 선택 과목 기준에 따라 수강해야 합니다.2.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과목의 필수 이수 여부'언어와 매체'와 '화법과 작문'은 **'국어' 교과에 속하는 '일반 선택 과목'**입니다. *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과목에서 일정 단위를 필수적으로 이수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 보통 3학년에 개설되는 '언어와 매체'나 '화법과 작문'은 이 국어 과목의 이수 단위를 채우기 위해 선택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하지만 수능 최저학력기준만 고려한다면, '언어와 매체'나 '화법과 작문'을 선택하지 않고도 다른 국어 관련 과목(예: 고전 읽기 등)을 선택하여 이수 단위를 채울 수 있는 학교들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학교별 교육과정 편제에 따라 달라지므로, 반드시 학교의 3학년 교과 과정 편제표를 확인해야 합니다.3. 가장 현실적인 대안과 조언3학년 때 수능 공부에만 집중하고 싶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 보세요. * 학교 3학년 교과 과정 편제표 확인: *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지금 당장 3학년 교과 과정 편제표를 학교 홈페이지나 교무실을 통해 확인하세요. 학교에서 어떤 과목을 필수로 이수해야 하는지, 어떤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 만약 선택의 폭이 있다면,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한 과목(예: 진로 과목, 탐구 과목 중 비교적 쉬운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진로 선택 과목 활용: * '여행지리', '사회문제탐구'와 같은 진로 선택 과목들은 대부분 성취도(A, B, C)로 평가되고, 내신 등급이 산출되지 않습니다. * 교과전형으로 대학을 지원할 경우, 진로 선택 과목을 반영하지 않는 대학들이 많습니다. 만약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이 진로 선택 과목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이 과목들을 선택하여 상대적으로 내신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단,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교과전형 모집요강에서 진로 선택 과목을 반영하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수능 선택 과목과 내신 과목 일치시키기: * 수능 과목으로 '언어와 매체'를 선택할 예정이라면, 3학년 내신 과목으로도 '언어와 매체'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내신 공부가 곧 수능 공부가 되어 이중 학습 부담을 덜 수 있기 때문입니다.결론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선택해야 하지만, 학교 편제표를 꼼꼼히 확인하고 진로 선택 과목의 반영 여부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과목을 선택한다면 3학년 때 수능 최저 공부에 집중하는 시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을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