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직렬 선택은 단순히 커트라인이나 봉급보다도 업무 강도, 근무 환경, 성향 맞춤이 더 중요합니다.
질문 주신 관세직, 출입국관리직(출관), 교정직, 철도경찰(철경) 간 특성 비교를 아래에 실무 중심으로 설명드릴게요.
✅ 1. 관세직 공무원
남자 비율은?
전체적으로 여성이 많고 남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편입니다.
특히 인천공항·세관 통관 부서는 여성 비율이 높은 곳도 많아요.
주요 업무
수출입 물품의 통관 검사, 관세 부과·환급, 밀수 단속 등 세관 행정 전반
세관 민원 응대, 통관 자료 처리, 국제 규정 해석 등 사무 행정 비중이 높음
공항/항만 등에서 교대근무 있을 수 있음
업무 난이도
행정직보다 어려운 통관 절차 이해 필요 (HS CODE, 원산지 증명 등)
법령 많고 복잡해서 초반에 공부할 게 많음
체력적으로는 교정·철경보다 낫지만, 업무 강도는 높음
보수/복지
세관 특성상 교대근무 시 수당 有
기본 봉급은 행정직과 동일
다만 세관 보직 따라 야간근무/휴일근무 있어 개인차 큼
✅ 2. 교정직 (남성 비율 압도적)
특징
전국 교도소 근무 / 민원 거의 없음
3교대 교대근무 (수용자 관리, 순찰 등)
체력, 멘탈 필수 – 장기간 근무 시 정신적으로 소진되기 쉬움
⚠️ 단점
평생 교도소에서만 근무 (본청 발령 극히 드묾)
휴일, 명절도 순번제로 근무
여성 교정직은 보통 여교도소/행정 쪽 배치
✅ 3. 출입국관리직 (출관)
특징
공항/항만 등 출입국 심사, 불법체류 단속, 외국인 보호소 관리
민원 많음 (특히 공항 출입국심사관) → “불친절하다” 민원 자주 들어옴
교대근무 많음 (24시간 운영 기관 다수)
장점
외국인 상대 많아 영어 활용 기회 있음
전국 발령 / 서울 포함 발령 많음
외국 관련 부서 관심 있으면 추천
✅ 4. 철도경찰 (철경)
특징
철도 범죄 단속 / 순찰 / 역무 지원 / 폭력사건 대응
철도청 소속이 아니라 경찰청 외청의 특수직
단점
야간근무, 격무, 열악한 장비
전국 발령 / 승진 적체 심함
✅ 5. 관세직 vs 교정직 vs 출관 비교표
✅ 어떤 직렬이 맞을까?
✅ 보너스: 관세직 난이도 팁
국어, 영어, 한국사 외
→ 관세법, 회계학(또는 무역영어) 선택
회계학 선택률 높고 난도도 있음
인강 없이 독학 가능하나, 법령 반복 암기가 핵심
혹시 원하시면:
직렬별 커트라인
과목별 학습 전략
여성 비율 높은 직렬 추천
도 추가로 도와드릴 수 있어요!
편하게 질문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