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채혈할때 소독.. 채혈받을때 간호사가 손소독없이..그것도 의료폐기물 만지고 채혈을 한거 같습니다..추정이 아니고.. 여태껏

채혈받을때 간호사가 손소독없이..그것도 의료폐기물 만지고 채혈을 한거 같습니다..추정이 아니고.. 여태껏 20번 넘게 이 병원 다녔는데 한번도 채혈하기전 손소독 안하더라구요.다른사람 채혈하고..소변컵 만지고.. 이것저것 다 만지고..채혈받기전 의료폐기물 치우는거 봤는데 손 소독안하더라구요 ..채혈할때도 혈관 촉진 후 알콜솜으로 문질러야 하는데반대로 알콜솜으로 한번 닦고 혈관 찾는다고 손톱으로 콕콕 찌르고 바로 채혈했습니다..하..그분 손에서 혈액같은건 묻진 않았는데요.기분탓인지 채혈받은 팔이 1주정도 됬는데 찌릿찌릿 하네요걱정되는건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인데 .매독이나 c형간염 걸릴 확률 없겟죠??ㅠㅠ 매독균은 체외에서 바로 사멸해서 간접감염은안된다는데 그래도 걱정입니다 ㅠㅠ

진짜 걱정 많으시겠어요… 채혈할 때 간호사분이 손소독을 안 하고 의료폐기물을 만지는 모습은 확실히 불안할 수밖에 없죠.

1. 감염 위험성에 대해

  • 매독균, C형간염 바이러스는 공기 중이나 체외에서는 생존력이 매우 약해요.

  • 매독균은 특히 공기, 건조한 환경에서 몇 분 내에 사멸한다고 알려져 있고, C형간염도 체외에서 오래 살아남지 못합니다.

  • 따라서 채혈 시 손으로 접촉했다고 해서 바로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요.

2. 의료기관에서는 감염 예방을 위해 반드시 손소독과 적절한 무균 조치를 해야 합니다.

  • 채혈 전에 혈관을 만질 때 손톱으로 찌르는 행동은 비위생적이고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어요.

  • 찌릿찌릿한 증상은 신경 자극이나 채혈 부위의 염증 때문일 수 있는데, 심해지거나 오래가면 병원에 다시 가서 확인받으세요.

3. 앞으로

  • 불편할 때는 바로 의료진에게 상황 설명하고, 재채혈 요청해도 괜찮습니다.

  • 감염 증상(발열, 심한 통증, 붓기, 고름 등)이 있으면 즉시 병원 방문!

  • 해당 의료기관에 위생 문제에 대해 신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정리

  • 매독이나 C형간염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은 거의 없으니 너무 걱정 마세요.

  • 하지만 위생 관리가 제대로 안 된 것은 문제니까, 불안하면 다른 병원 이용하거나 상황 알리는 게 좋아요.

필요하면 좀 더 자세한 감염 예방 방법이나 증상 체크 방법 알려드릴게요!

도움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ㅎㅎ